다양한 문제와 복합적인 욕구를 가진 어르신 대상으로, 지역사회 내 다양한 자원연계 및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원합니다.
일상생활지원 | 경제적·신체적 어려움 및 장애 등으로 일상생활 지원이 필요한 어르신에게 물품전달 및 지역사회 단체 연계 서비스 제공 |
---|---|
정서적지원 | 어르신의 지역사회 고립 예방을 위한 정서 프로그램 및 서비스 제공 |
지역 네트워크 | 어르신의 복지증진을 위해 지역 내 민·관 기관 간의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서비스 제공 |
일상생활 활동이 어려운 취약 어르신에게 적절한 돌봄서비스를 제공하여 안정적인 노후생활, 건강 유지 및 악화 예방을 지원합니다.
안전지원 | 방문 안전지원(안전·안부확인, 생활안전점검, 말벗서비스), 전화 안전지원, ICT 안전지원 |
---|---|
사회참여 | 사회관계 향상(문화여가, 평생교육, 체험여행 등), 자조모임 |
생활교육 | 신체건강지원(영양·보건·건강교육), 정신건강지원(우울예방, 인지활동) |
일상생활지원 | 이동활동(외출동행), 가사지원(식사·청소 관리) |
연계서비스 | 지역사회 자원연계(생활·주거개선, 건강지원서비스) |
안전 사각지대에 있는 독거노인·장애인의 가정에 태블릿형 게이트웨이와 각종 센서(활동·감지·가스감지센서)를 설치하여 화재·가스사고 등 발생 시 소방서 연계를 통한 신속한 대처 및 상시보호체계를 마련하는 사업입니다.
응급안전 서비스 실태조사 | 지역의 독거노인·장애인 중 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대상자 수시 발굴 |
---|---|
시스템 설치 및 관리 | 대상자 선정 가정에 댁내장비 설치 후 통신불량, 전원차단, 배터리부족 등의 장비 이상 유무 파악 및 안전사고 대비 |
안전 확인 | 대상자의 활동량에 따른 유선 및 방문을 통한 안전확인 |
응급상황관리 및 대응조치 | 응급관리요원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대상자의 댁내 응급상황발생시 소방서 출동을 통한 신속한 대응조치 |
지역사회자원 발굴 및 연계 | 대상자의 욕구 및 댁내 환경을 고려한 지역사회 다양한 서비스 연계 |